[SEO] 구글 검색 결과... 구글 서치 콘솔 설정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최근 인터넷 검색에서 구글을 찾는 이용자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Dighty Data Market의 2021년도 3분기 국내 검색엔진 평균 유입률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가 63.99%의 평균 유입률로 검색마켓 점유율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서 구글이 28.17%로 2위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네이버는 2020년 3분기와 비교 시 -5.00%p 감소한데 비해 구글은 6.69%p 증가하여 구글의 검색시장 점유율이 매 분기 상승세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구글의 검색시장 점유율이 높아질수록 구글의 SEO 또한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구글에서는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이라는 툴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구글의 SEO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따라서 이에 대해 보다 쉽게 이해하고 설정하는 것이 구글 SEO를 위한 첫 번째 과제입니다.
구글 서치 콘솔의 가장 큰 기능은 구글 검색 결과에 사용자의 쇼핑몰이 나올 수 있도록 돕는 것인데요.
이 뿐만 아니라 쇼핑몰 크롤링과 색인, 오류에 대한 모니터링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어떤 키워드가 인기가 많았는지, 어떤 페이지가 트래픽이 높았는지 확인하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은 100% 무료 서비스이기 때문에 걱정하지 마시고 쇼핑몰 오픈 초기에 설정해주시길 바래요.
구글 서치 콘솔을 시작하기 위해 아래 페이지로 접속해주세요.
(구글 서치 콘솔 등록을 위해서는 내 쇼핑몰을 대표할 수 있는 구글 계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첫 화면은 쇼핑몰 소유권 인증을 위한 화면입니다.
가장 먼저 속성 유형 설정에는 도메인 속성과 URL 접두어 속성 두 가지 방식이 나오는데요. 도메인 속성 유형은 도메인 등록 시 모든 서브도메인과 여러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추적할 수 있는 옵션이며URL 접두사 속성 유형은 프로토콜 포함 지정된 접두사가 있는 URL만 추적에 포함하는 옵션입니다.
URL 접두사 속성은 다른 프로토콜이나 서브도메인이 빠진 URL은 추적할 수 없기에 포괄적인 추적이 필요하다면 도메인 속성을 그렇지 않다면 URL 접두사 속성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이번 시간에는 URL 접두어 속성 유형에서 HTML 태그 방식으로 인증하는 방법을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순서대로 따라 해보시길 바랍니다.
URL 접두어 > 웹사이트 URL 입력 > 계속 > HTML 태그 선택 > 메타 태그 복사
복사한 메타 태그를 사이트 <head> 영역에 넣어주신 후 소유권 확인을 마치면 됩니다.
고도몰5 솔루션 기준으로는 외부 스크립트 등록 기능을 활용해 보다 쉽게 메타 태그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외부 스크립트 등록 기능은 아래 경로에서 확인해보실 바랍니다.
쇼핑몰관리자 > 기본설정 > 외부 스크립트 관리 > 외부 스크립트 등록
마지막으로 소유권 확인을 마쳤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구글 서치 콘솔 활용이 가능해졌습니다.
만약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를 사용하신다면 이를 구글 서치 콘솔과 연결하는 것도 매우 좋은 방법입니다.
이 두가지 툴을 연동하여 사용 시 데이터가 합쳐져 SEO에 보다 긍정적인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데요. 설정 경로는 아래와 같으며 연결을 위해서는 구글 서치 콘솔을 설정한 대표 구글 계정이 연결하고자 하는 구글 애널리틱스 속성의 액세스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만 합니다. 설정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설정 > 연결 > Google Analytics 속성 연결
구글 서치 콘솔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능으로는 실적(Performace), 색인 생성 범위(Coverage), 모바일 사용 편의성(Mobile Usability)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실적 리포트는 사이트의 전반적인 인사이트를 알 수 있는 기능으로 가장 중요합니다. 추적된 정보를 총 클릭수, 총 노출수, 평균 CTR, 평균 게재순위 4가지로 나누어 보여주며, 이를 통해 실적이 가장 높거나 낮은 페이지, 키워드 별 노출 및 클릭수 등을 필터링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키워드를 검색어 필터에 추가하여 검색하면 해당 키워드 관련 인사이트를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색인 생성 범위 또한 주요하게 사용되는 리포트라 할 수 있는데요. 단순히 웹사이트의 페이지가 색인이잘 되었는지만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정확히 확인이 가능하여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색인 기능입니다.
색인의 상태는 오류, 유효(경고 있음), 유효, 제외됨 4가지로 구분되며 각각의 대표적인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오류(Error) : 색인이 되지 않은 페이지
· 제출된 URL에서 Soft 404가 반환됨 : 제출된 페이지를 찾을 수 없으며 헤더에 잘못된 상태 코드가 전달
· 리디렉션 오류 : 301/302와 같은 리디렉션이 있으나 연결이 되지 않음
· 제출된 URL을 찾을 수 없음(404) : 제출된 페이지를 찾을 수 없음
· 크롤링 이슈 : 페이지에 다양한 오류가 있기에 일일이 확인 필요
· 서버 오류(5xx) : 구글 봇이 서버에 접속할 수 없음
2. 경고 있음(Valid with warnings) : 색인은 되었으나 페이지의 문제점을 발견
· robots.txt에 의해 차단 : 페이지가 robots.txt에 의해 차단이 되었으나 색인은 되었음
· 내용 없이 페이지 색인 생성 : 구글에 의해 클로킹 되었거나 색인을 생성할 수 없는 형식
3. 유효(Valid) : 정상적으로 페이지를 색인하였을 경우
4. 제외됨(Excluded) : 가장 주의해야 할 항목으로 페이지가 색인되지 않아 제외가 되었을 경우
· 리디렉션 페이지 : 현재 URL자체가 리디렉션이므로 색인되지 않음
· robots.txt에 의해 차단 : 구글에서 크롤링을 차단하고 있음
· 중복 페이지 : 중복된 페이지가 있음
· 크롤링 변칙 : 페이지에 이상이 있음(대표적으로 404페이지)
· 중복 페이지 및 URL이 표준으로 선정되지 않음 : 해당 페이지를 구글에서 표준으로 지정하지 않았거나 중복
모바일 사용 편의성의 경우에는 모바일 사용자들을 위한 모바일 관련 디자인 및 개발 문제를 보여주는데요.
모바일 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경우(페이지 스크린보다 큰 콘텐츠, 너무 작거나 큰 폰트 사이즈 등)를 보여주며 해당 기능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진단하고 개선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구글 서치 콘솔의 기초 설정과 대략적인 기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구글 서치 콘솔에서는 오늘 설명드린
기능 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좀 더 자세한 확인을 해보시길 권장 드립니다.